족저근막염 자세히 공부해볼까요
안녕하세요 평소때 잘 생활하다가 몸이 아플때가 있습니다.
아프면 당연히 걱정은 되는데 그 중에서도 발바닥이 아프면 걱정되면서도
당장 생활하는데 불편감이 있어 더욱 신경쓰이게 됩니다.
저도 일하다보면 괜찮았는데 갑자기 어느 순간 발다닥 중간부분이 땡기는듯 하기도하고
찌르는듯 하기도 한 통증이 느껴질 때가 있습니다. 알고보니
족저근막염 이였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생각보다 많은 사람들이 겪게되는 발바닥통증인
족저근막염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그럼 시작해보겠습니다
족저근막염이란?
족저근막염이란 발바닥에는 발뒤꿈치부터 발가락까지 연결된 두꺼운 섬유띠가 있습니다.
이 섬유띠는 발바닥의 충격을 흡수해주고 발을 움직일 수 있게 도와주는 역할을 합니다.
그런데 다양한 이유로 인해 이 섬유띠에 손상이 생기고 염증이 생긴 것을 족저근막염이라고 합니다.
족저근막염 원인
족저근막염은 다양한 이유로 발생하게 됩니다.
발바닥이 너무 평발이거나 아치가 심한 경우 자주 발생하기도 하고
오랫동안 서있는 경우, 과체중일 경우, 여성분들이 신는 하이힐을 자주 신는 경우에도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그외 급격한 체중증가를 갖게된 사람에게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족저근막염 증상
족저근막염은 근막이 이루고 있는 발바닥 전반에 걸쳐 나타날 수 있고 주로
발뒤꿈치나 발뒤꿈치 내측, 혹은 아치를 이루고 있는 오목한 곳에 통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이점은 자는 동안 수축되 있던 근막이 일어나서 몇걸음 걸으면서 이완되게 되는데
이때 통증을 느끼게 되고, 오래 서있거나 걷게 되면 통증이 증가하게 됩니다.
그리고 증상이 심한 경우 발바닥 통증으로 국한되는 것이 아닌 무릎, 고관절, 척추에도
안좋은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족저근막염 스트레칭
1.서서 벽 밀기
벽과 수직으로 선 뒤 한 발은 뒤로 어깨 넓이의 1.5배 만큼 빼줍니다.
양손은 벽을 밀어주며 앞쪽 발은 뒷발의 종아리가 당길 때까지 무릎을
구부려줍니다. 반대쪽도 마찬가지로 시행하면 됩니다.
주의할 점은 양발 보두 발뒤꿈치가 바닥에 닿은 상태를 유지해야 합니다.
2.수건 집기
의자에 앉아서 발 앞에 수건을 놓습니다.
발가락을 최대한 펴서 수건을 집었다가 놓는걸 반복합니다.
수건 집기는 발가락의 작은 근육들을 움직이게 하여
통증을 완화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3.발 아치 스트레칭
계단에서 한발은 계단에 올려놓고 나머지 발은 뒤로 살짝빼서 계단에 반만 걸치게 둡니다.
그다음 반만 걸친 뒤발의 뒷꿈치를 지긋이 내려 발의 오목하게 들어간 아치부분에
압력이 가해지도록 합니다. 이때 무릎이 구부려지지 않도록 주의해야합니다.
4.공굴리기
한발은 바닥에 대고 나머지 발아래 작은 공을 둡니다. 야구공이나 테니스공도 괜찮습니다.
그리고 공을 발바닥으로 지긋이 누른상태에서 앞뒤좌우로 움직여줍니다.
족저근막염 치료
족저근막염이 초기상태라면 물리치료나 도수치료 등의 보존적 치료만으로도 상태가 좋아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6개월 이상 지속된 만성 족저근막염이라면 정형외과를 내원하여
고주파치료, 체외충격파 치료, 신경치료술 등을 통해 염증과 부종을 가라앉히고
손상된 근막의 회복도 도울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족저근막염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족저근막염은
우리나라 국민의 1%나 가지고 있는 아주 흔한 질환이기 때문에 간과해서는 안됩니다.
물론 통증이 생겼다가도 몇일 후에 사라지기도 하지만 만성으로 6개월이상 혹은 몇년이상씩
증상을 가지고 통증을 호소 하시는 분들도 계십니다. 때문에 통증이 발생하면
가벼운 스트레칭을 통해 증상완화가 되는지 해보시고 몇일이 지나도 나아지지 않는다면
꼭 병원에 내원하셔서 검사를 받아보시길 바랍니다.
저의 포스팅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